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 “CCTV 관제 및 운용 직무 자격인증 체계화 필요하다” > 정보마당

본문 바로가기

정보마당언제나 먼저 생각하고 함께하는 ICQA가 되겠습니다.

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 “CCTV 관제 및 운용 직무 자격인증 체계화 필요하다”
분류 뉴스레터
작성자
날짜 22-03-16 09:59

CCTV 관제요원 육성 위한 자격 인증 범위 넓혀야

 

[아이티데일리] “영상정보(CCTV)는 산업용, 교육용, 의료용, 교통관제용 감시, 방범용, 방재용 등 각 사용 목적에 따른 활용도가 다양하다. 이에 따라 해마다 설치 범위가 확장되고 설치 대수도 해마다 늘고 있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CCTV 관제 및 운용 직무 자격인증을 체계화하고, 전문관제요원 육성에 보다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15일 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ICQA)는 영상정보(CCTV) 관제 및 운용 직무의 자격 인증 체계와 전문관제요원을 육성하기 위해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국내 다양한 부처에서 CCTV 설치범위를 늘리고 있다. 국방부는 2006년부터 최전방 부대를 중심으로 과학화 경계 시스템을 도입하기 시작했고, 지금까지 첨단 감시 장비로 점진적인 교체를 통해 경계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있다. ‘과학화 경계 시스템’ 도입 초기에는 CCTV 해상도와 탐지 정확도가 낮았지만, 시스템의 기술 발전으로 선명도와 해상도가 개선됨은 물론 점차 지능화됨에 따라 영상분석의 정확도가 향상됐다.

 국토교통부(국토부)도 마찬가지다. 국토부에 따르면, 도시철도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내년까지 도시철도 차량 내부에도 CCTV를 설치하도록 각 운영기관에 시정 조치를 시행했다. 광역철도를 운영하는 한국철도공사는 2024년까지 예정돼있던 CCTV 설치를 앞당겨, 내년까지 운행 중인 모든 광역철도 차량에 CCTV 설치를 계획하고 있다.

 이에 CCTV 관제 및 운용, 관리를 담당하는 직원의 개인정보보호, 인프라 이해도 등을 검증하기 위한 자격 체계의 중요성도 늘고 있다. 가령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해야 저장된 영상정보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관제를 위해 목적에 따른 관련 법령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업무 범위도 명확히 구분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관제 또는 관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관제 및 관리 담당자는 CCTV 장비의 속성을 비롯한 전체적인 시스템 관련 인프라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206922_208132_535.png

 

 현재 CCTV 관제 및 운용, 관리 역량 자격 체계를 갖춘 곳은 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가 있고, 대부분은 군, 지자체, 교도소, 경찰, 항만, 병원, 아파트, 주택관리 등 자체적인 교육으로 진행하고 있다. 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는 영상정보 처리기기(CCTV 등)에서 수집되는 영상정보를 관리 및 보호하고, 지능형 영상정보관제시스템을 모니터링‧운용할 수 있는 관제능력 보유 여부를 검증하는 자격 ‘영상정보관리사(등록(비공인)민간자격 2021-002652)’을 개발 및 시행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22일 첫 시행에 유자격자 257명을 배출했다.

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 한복수 이사장은 “영상정보를 다루는 공공·민간영역 영상정보관리사(Video Information Advisor)는 전문관제요원 육성을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공공지자체, 교정기관 등 관리자와 산업계 민간경비, VMS, 통합플랫폼, 주차관리 등 실무자 등으로 폭넓게 구성돼 자격 요건을 마련해야 CCTV 관련 산업이 더욱 발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재현 기자     pajh0615z@itdaily.kr 

출처 : 아이티데일리(http://www.itdaily.kr)

 

관련링크